• 1품계
    • 상국 : 승상이라는 명칭에서 개칭된 것
    • 대사마, 대장군 - 1품계.
      • 대사마 : 모든 군사를 총괄
      • 대장군 : 반역자 토벌을 주임무
    • 삼공
      • 사도 : 정치. 삼공 중 최고
      • 사공 : 건축.
      • 태위 : 군사. 명예직 실권 없음
    • 태부 - 천자의 선생. 명예직
  • 2품계(모두 무관. 통칭 대장군)
    • 표기장군 : 기병을 담당
    • 거기장군 : 전차를 담당
    • 위장군 : 황제 호위담당
    • 중군, 상군, 진군 대장군(비상설)
    • 사정장군 : 외정사령관(사정과 사진은 병설치 않는다) 동, 남, 서, 북 순으로 직급이 높다.
      • 정동 : 청주, 연주, 서주, 양주
      • 정서 : 옹주, 량주, 
      • 정남 : 형주, 예주
      • 정북 : 유주, 기주, 병주
    • 사진장군 : 각 지역의 수비와 방어를 담당
      • 진동
      • 진서
      • 진남
      • 진북
  • 3품계
    • 사방장군 : 중앙군을 지휘
      • 전장군
      • 후장군
      • 좌장군
      • 우장군
  • 4품계
    • 중랑장 : 황제의 호위와 궁중경비
    • 교위 : 대대장 혹은 중대장(4품에서 6품까지)
    • 도위 : 행정장교(4품에서 6품까지)

문관

  • 3품계
  • 광록대부 : 명예직
  • 5품계
  • 자사 : 각 주의 도지사격(군사권 없음)
  • 6품
  • 현령 : 수도권 한정
  • 7품
  • 현령 : 수도권 이외
  • 8품
  • 현장 : 1만 호 이하의 현


Posted by 럭키피그
,

저자 : 기타지마 만지

옮긴이 : 김유성 이민웅

출판사 : 해군사관학교

초판 : 2008년 12월 23일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포함해서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임진왜란 전의 일본과 한국, 명나라의 상황, 2장과 3장은 임진왜란 4년간의 일을, 4장은 강화교섭, 5장은 명유재란 3년간을, 6장은 전란의 여파를 기술하고 있다. 일본의 학자가 저술하였기 때문에 일본의 내부상황에 대한 서술이 자세하게 되어있고 항왜와 포로로 끌려간 조선인에 대한 내용이 비중있게 다루어져 있다. 개인적으로는 가토 기요마사의 함경도 지배와 명나라 정부의 움직임, 명유재란때의 하삼도 약탈과 왜성 공방전 등에 대한 내용은 새롭게 알게된 바가 많았다.

다만 표기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 특히 일본의 직위, 지명, 건물 등의 표기는 한자음독과 일본음독이 혼용되어서 사용되고 있는데 일정한 통일성을 따르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일본의 사찰이름을 표기할때 鹿苑寺는 한자음독인 녹원사로 표기하고 相國寺는 일본어음독인 쇼코쿠지로 표현했다. 일본의 직위도 히데요시의 직위였던 關白의 경우 일본어음독인 간파쿠로 표기했으나 右大臣, 大納言 등은 한자음독인 우대신, 대납언으로 표기하였다. 이는 번역자가 임의 단어를 선별하여 번역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가 집필한 책인 만큼 내용이 세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이 읽기에 부담감 없게 집필되어 있다.

Posted by 럭키피그
,

구성군 이준

조선 2017. 6. 1. 09:38

재미있는 인물을 발견했다.

구성군 이준은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의 2남으로 왕실의 종친이다.

임영대군은 세조가 계유정난으로 정권을 잡은뒤에 세조를 지지하면서 안평대군과는 달리 잘 먹고 잘 살았다.

세조 치세의 말년에 벌어진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를 계기로 출세가도를 달리게 되는데 27세에 병조판서에 28세에는 영의정에 오른다. 세조의 신망에 주변에서의 평가도 좋았던 이른바 능력있는 왕족이였다.

재미있는 것은 세조의 사후에 벌어진 일이다.

세조 이후 왕위에 오른 예종은 고작 2년만에 발에 난 종기로 인해 사망한다. 이에 예종의 조카인 질산군이 12살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니 바로 성종이다. 요렇게 되고나자 왕실종친인 구성군의 위치가 재미있어 진다.

나이 어린왕에 신망받는 왕실종친이라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

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문종은 고작 2년만에 사망하고 아들이 12살에 왕위에 오르니 단종이다. 그리고 그 단종에게는 문무가 뛰어난 숙부가 있었으니 이른바 수양대군.

구조가 완전히 비슷하지 않은가? 재미있는 점은 더 있다.

세종은 문종이 몸이 약한것을 걱정했다. 문종이 죽으면 단종이 혼자가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신들에게 단종을 부탁했으니 이때 대신들이 황보인, 김종서, 신숙주, 박팽년 등이다. 이후 수양대군은 대신들이 왕을 농락하고 국가를 문란하게 한다며 난을 일으키니 계유정난이다. 이때 김종서와 황보인을 척살하고 실권을 잡은뒤에 왕위를 선위받아 왕에 오르니 세조다.

세조의 말년에 건강이 급격히 안좋아지자 신숙주, 한명회 등의 대신들을 원상으로 임명하여 나이 어린 왕을 보필하도록 하였고 섭정으로 구성군 이준을 삼았다. 그런데 다음 왕위를 이은 예종이 2년만에 승하하고 조카가 왕위에 올랐는데 나이가 고작 12살이다.

어린 나이의 왕, 능력있는 종친, 후사를 부탁받은 원상대신.

단종, 수양대군, 김종서

성종, 구성군, 한명회

사람만 달랐지 돌아가는 모양은 똑같다.

물론 단종과 성종은 상황이 달랐다. 어머니에 아버지 할머니 할아버지도 없었던 단종과는 달리 성종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모두 살아있었고 할머니인 정희왕후가 섭정을 보고 있었다. 하지만 대신들은 필연적으로 구성군이 불안할 수 밖에 없었다. 왜냐면 자신들의 과거가 지금의 상황과 똑같았기 때문이다. 설사 구성군에게 야망이 없더라도 자신들과 같은 사람이 붙는다면 계유정난2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었기 때문이였다.

덕택에 구성군은 대신들의 탄압으로 유배를 간뒤 유배지에서 죽었다.

어린나이에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에 올랐던 구성군은 제발저린 계유정난 공신들때문에 계유정난2의 예방으로 정치적 살해를 당했다. 뭐눈에는 뭐만 보인다고 불쌍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겠다.

Posted by 럭키피그
,